리눅스 9

리눅스 1초마다 실행 된 반복된 횟수 찾기(더하기)

메세지 발송 코드 디버깅 과정에서 새로 배운 내용이다. 기존 테스트 시에는 Postman 이나 Jmeter에 이미 초당 발송 건수나 평균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았는데 SQL 로 10000건같이 대량 발송 후 초당 처리건수를 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14:03:45.094 dlvs : oa=[90004] da=[010------] sn=[464878] rcsn=[300990] call=[------][------] sid=[2] cpid=[song_test3] scnt[1] id=[id] resellerCode[30-----71] 위에 로그는 발송 간 일부분이다. 여기서 dlvs가 발송간 1번만 나오는 것이여서 저걸 기준으로 초당 발송 카운트를 할려고 하였다. 해당 MMS.2024..

업무 기록/ETC 2024.01.04

vi, vim 편집기 명령어 [Linux]

오늘은 기본적으로 순전히 내가 많이 사용하면서 각끔 까먹는 명령어를 기록할려고 한다. vi 의 향상버전을 vim이라고 하는데 내가 사용하는 환경은 vi를 처도 vim이 실행된다. vi(m)는 리눅스와 다른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편집기 중 하나이다. vi는 화면 편집이 가능한 텍스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강력하면서도 핵심 기능들을 제한된 키보드 명령어로 수행한다. 다음은 vi의 주요 명령어 및 사용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다. 명령모드, 입력모드, 마지막 행 모드 3가지로 구분하지만 여기서는 순수 내가 자주 사용하는것을 가록할 것이다. 시작 이동: G: 파일의 끝으로 이동 h: 좌로 이동 j: 아래로 이동 k: 위로 이동 l: 우로 이동 삭제 및 복사: u: Ctrl + z x: 현재 커..

업무 기록/ETC 2023.12.12

리눅스 크론탭(Crontab) 이란

업무를 하는 중 프로그램 사용 월별청구 현황을 메일로 보내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때 메일을 자동으로 보내주는 코드와 start.sh 를 통해 이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명령어를 작성한적이 있다. 이 후 그럼 메일을 보내는것 까지 자동으로 보내는 방법을 찾아보다 기록하게 되었다. 크론탭이란 리눅스 크론탭(Crontab)은 리눅스와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위한 스케줄링 도구이다. 크론텝을 사용하면 특정 시간, 날짜 또는 주기에 따라 스크립트,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크론텝은 시스템 관리 작업, 백업 작업, 데이터 정리 작업, 보고서 생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크론탭 기본 사용법 각 *는 시간과 날짜를 나타내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분, 시간, ..

업무 기록/ETC 2023.10.07

Linux grep 간단한 명령어

grep이란grep 명령어는 리눅스와 Unix 기반 시스템에서 텍스트 검색 및 패턴 매칭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명령어 중 하나이다. grep 명령어기본명령어grep '패턴' 파일이름이 명령은 "패턴"이라는 문자열을 파일에서 찾아 해당 라인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grep 'succeed' test.txt는 "DBMS.2030913" 파일에서 "succeed"이라는 문자열을 찾아 해당 라인을 출력한다. -i 옵션grep -i '패턴' 파일이름-i 옵션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검색한다. 즉, "apple", "Apple", "aPpLe" 등을 모두 찾는다. -o 옵션(횟수 구하기)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테스트를 하면서 성공건수나 실패건수를 로그에서 찾는데 매우 유용하다.grep ..

업무 기록/ETC 2023.09.14

SSH 접속 오류 :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오류는 원격 서버에 대해 이전에 저장된 신뢰할 수 있는 호스트 키와 현재 서버의 호스트 키가 다를 때 발생하는 문제 서버 재설정 또는 재설치: 서버가 재설정되거나 재설치되면 호스트 키가 변경될 수 있다. IP 주소 또는 도메인 변경: 서버의 IP 주소가 변경되거나 도메인이 변경되면 호스트 키가 변경될 수 있다. 중간자 공격(MITM): 중간자 공격으로 인해 사용자가 정말로 연결하려는 서버가 아닌 공격자가 제어하는 서버에 연결되었을 수 있다. ✔ 호스트 키 재정의: 이 접근 방법은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서버인지 확인 후, 새로운 호스트 키를 승인하여 이전 호스트 키를 무시하도록 지시. ssh-keygen -R xxxx.xxxx.xx..

업무 기록/ETC 2023.08.09

Linux 서버 권한변경 및 war 파일 올리기

✔ 이동scp /home/tistory/test23.war tistory2@보낼주소:/tmp tistory3에 이동 예정이지만 권한이 없는 경우 권한이 있는 곳에 tmp에 먼저 이동하여 권한을 줘 실행 ✔ 접속ssh tistory2@보낼주소 ✔ root 로 변경su - 비밀번호 접속 ✔ tistory3로 변경su tistory3 ✔ tmp이동 - war 파일 tistory3로 권한 변경ls -l ti* 2_뒤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 자세히 보기 chown tistory3:dev test23.war tistory3:dev로 권한변경 - 이전에는 tistory2:dev로 되어있음 ✔ 작업 전 백업 파일 만들기tar -cvf tistory3_20230707.tar tistory 압축해 생길 파일 이름과 어떤 파..

업무 기록/ETC 2023.07.13

리눅스(Linux) nginx 설정

✔ upstream - 백엔드 서버 그룹을 정의하는 지시어 upstream ssl_service { server 127.0.0.1:8000; server 127.0.0.1:8001; server 127.0.0.1:8002; server 127.0.0.1:8003; server 127.0.0.1:8004; } ssl_service라는 이름으로 그룹을 정의하고, 8000부터 8004까지의 포트를 가진 서버를 지정 ✔ Port와 서버 이름 server { listen 443 ssl; server_name tistoryt.co.kr; #server_name 127.1.2.3; #ssl on; tistoryt.co.kr 도메인에서 들어오는 HTTPS(포트 443) 요청을 처리하는 부분이며, 나중에 예를 들어 lo..

업무 기록/ETC 2023.07.11

리눅스 .sh(start.sh, stop.sh

grep grep이 파일의 문자열을 검색할 때, 단순 문자열 매칭이 아니라,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에 의한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방식을 사용 ✔ start.sh proc=`ps -ef | grep AAAAAAA-0.0.1-SNAPSHOT.jar | grep $LOGNAME | grep -v vi | grep -v grep | grep -v sh` if [X"$proc" != X"" ]; then echo "[$proc] aleadt executed.." else javaja -server -Dspring.profiles.active=dev -jar Terashot-0.0.1-Center.jar & fi // bash stat.sh 로 시작하기 proc=ps ..

업무 기록/ETC 2023.06.25

리눅스 파일

us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유저 애플리케이션과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일반적으로 시스템 전반에 걸쳐 설치된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이 이 디렉토리에 위치 /usr/bin: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들이 위치, 대부분의 사용자 명령어들이 이 디렉토리에 저장 /usr/lib: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위치,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들이 이 디렉토리에 저장 /usr/include: C나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헤더 파일들이 위치, 헤더 파일들은 소스 코드에서 함수 및 데이터 구조를 참조할 때 사용 bin : 시스템 부팅과 관련된 명령어와 기본 실행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대 부분의 사용자들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이 디..

업무 기록/ETC 2023.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