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Reprsentational State Transfer) -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 - 자원 :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문서, 이미지, 데이터..) - json, xml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 장점 - HTTP 프로토콜의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REST API 사용을 위한 별도의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음 - HTTP 표준 프로토콜에 따른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명확하게 분리(프론트엔드 - 백앤드) 단점 - 표준이 존재하지 않음 -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의 형대가 제한적 - 구형 브라우저가 아직 지원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음 과제 네이버 영화에서 영화제목, 평점, 리뷰를 크롤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