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퀀스의 개념
시퀀스는 정수 값을 생성하는 객체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일한 값을 생성할 때 사용된다.
주로 테이블의 기본 키(primary key)나 다른 열(column)의 값에 사용되며, 중복 없는 고유한 값을 생성한다.
시퀀스의 장단점
장점:
고유성 보장: 시퀀스를 사용하면 중복된 값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데이터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성능 향상: 응용 프로그램에서 값을 생성하는 비용을 절약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으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확장성: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시퀀스를 사용해도 고유한 값을 생성할 수 있어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유용.
단점:
데이터베이스 종속성: 시퀀스는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따라 구문이 다르며, 데이터베이스 종속성을 가져올 수 있다.
재설정 문제: 시퀀스가 최대값에 도달하면 시퀀스를 재설정하는 로직이 필요하며, 이를 신경써야 한다.
새 시퀀스 만들기

시퀀스 우측클릭 -> 새 시퀀스 클릭
sequence_name: 시퀀스의 이름을 지정.
initial_value: 시퀀스가 시작하는 값.
increment_value: 시퀀스가 증가하는 값.
min_value: 시퀀스가 가질 수 있는 최소 값.
max_value: 시퀀스가 가질 수 있는 최대 값.
CYCLE/NOCYCLE: 최대 값에 도달하면 시퀀스를 다시 시작할지 여부를 지정.
결과 화면

nextval 사용하는 경우에 나는 많이 사용한다. 회사에 다니면서 처음 사용했던게 생각이 나 정리하였다. 항상 그냥 nextval만 사용했지 시퀀스를 사영한적은 일하면서 처음이었다.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종류 와 선택(PostgreSQL,MySQL,MongoDB,Redis,Elasticsearch,Cassandra,Neo4j) (1) | 2024.11.27 |
---|---|
Hibernate 란?? (주요특징, 아키텍쳐, 장단점 등) (0) | 2024.11.23 |
pk 2개, 여러개 설정 - SQLGate (0) | 2023.09.26 |